Post

[React] 가상 돔(Virtual DOM) 알아보기

DOM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입니다. DOM은 HTML 요소를 객체(Object)로 만들어 브라우저가 문서 구조에 접근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한마디로 DOM은 문서의 모든 요소를 정의하고, 각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DOM을 렌더링 하는 과정

  1. 브라우저는 서버가 보내준 HTML 파일을 해석(Parsing)해 DOM 트리를 만든다.
  2. 브라우저는 서버가 보내준 CSS 파일을 해석(Parsing)해 CSSOM 트리를 만든다.
  3. DOM 트리와 CSSOM 트리를 결합한 렌더트리를 만든다.
  4. 렌더트리로 각 객체의 위치와 크기를 계산한 레이아웃을 만든다.
  5. 레이아웃이 완성되면 요소를 실제 화면에 구현한다.

 

DOM의 문제점

  • 새로운 요청이나 변경사항이 있을 때마다 전체를 다시 렌더링 한다.
  • 매번 전체를 렌더링 하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양이 많을 경우 렌더링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진다.

 

가상 DOM

가상 DOM은 주로 React, Vue, Elm 등에서 사용되고, 실제 브라우저의 DOM이 아닌 가상의 DOM을 만들어 브라우저에 렌더링 합니다.

 

리액트에서 가상 DOM을 사용하는 이유

상태(State)가 변했을 때 브라우저 전체가 아닌 기존의 DOM과 달라진 부분만 변경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방식을 Diffing 방식이라고 하는데, 필요한 부분만 교체해 불필요한 업데이트를 줄이고, 렌더링 속도를 올려줍니다.

 

가상 DOM을 렌더링 하는 과정

  • 상태(State)가 바뀌면 UI를 가상 DOM에 렌더링 한다.
  • 가상 DOM끼리 비교한다.
  • 바뀐 부분만 실제 DOM에 렌더링 한다.

 

가상 DOM의 단점

가상 DOM은 대부분의 경우 실제 DOM보다 빠르지만, 항상 빠른 것은 아닙니다. 조그만 변화에도 반응하기 때문에 최적화가 되어있지 않으면 오히려 실제 DOM보다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오버헤드가 크다라고 합니다. 가성비가 안 맞는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껌 하나를 사러 멀리 떨어진 마트를 갔을 때 오버헤드가 크다는 표현을 쓸 수 있습니다. 결과에 비해 들이는 노력이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리액트에서는 shouldComponentUpdateuseCallback 같은 함수를 써서 최적화를 합니다.

 

레퍼런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